저는 정보처리기사 2022년 1회차 시험에 응시하였습니다.
시험장에서 1번 풀고 1번 검토하고 1번은 내가 생각했을 때 맞은 것과 애매한 것을 분리해서 채점을 한 후 애매한 것은 한 번 더 자세히 보고 나왔습니다.
그렇게 해서 1시간 반 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
가체점 결과는
1과목 18
2과목 15
3과목 16
4과목 17
5과목 12
로 78점을 맞았습니다!
생각보다 5과목이 어려워서 5과목만 과락하지 않으면 붙겠다 싶었는데 다행히 합격을 했습니다!
제가 공부한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는 기사패스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상세풀이 800제 하나만 보고 시험에 응시하였습니다.
처음에는 2020년 1회차 시험을 하루에 1과목 20문제씩풀었습니다.
풀고나서 틀린문제는 왜 틀렸는지 분석하고 맞은 문제는 나머지 보기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습니다.
그렇게 기출문제 1회를 풀고 이동 시간마다 반복해서 보았습니다.
그리고나서 2020년 기출들은 시간을 재지 않고 풀어보았고 틀린 문제와 맞은 문제는 마찬가지로 위의 방법대로 분석하였습니다.
그렇게 2020년 1회차는 5회 정도 반복해서 보았고 2020년도 나머지 기출들은 3회 정도 반복해서 보았을 때 무언가를 깨달았고 이제는 시간을 재고 풀어봐도 되겠다 싶어서 2021년도 기출들은 시간을 재고 풀어보았습니다.
시간은 대략 1시간에서 1시간 반정도면 다 풀었고 점수는 74점 62점 76점 정도 나왔습니다.
그리고나서 모의고사 2회분도 풀고 계속 반복해서 보았습니다.
실질적으로 공부한 기간은 2주정도된 거 같습니다.
첫 주에 2020년 1회차 모의고사를 5일 동안 풀고 그 후로부터는 하루에 기출 및 모의고사를 1회씩 풀고 분석했습니다.
기출과 모의고사를 다 푼 후부터는 계속 반복해서 제가 틀렸던 것을 위주로 복습을 하였습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상세풀이 800제의 해설이 너무 잘 나와있어서 좋았습니다!
여러분도 따로 필기 수험서를 보지 않더라도 기출 문제집 하나로 충분히 합격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처리기사 실기 ] Part 01. 요구사항 확인 - CH01.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0) | 2022.04.04 |
---|---|
[ 정보처리기사 실기 ] Part 01. 요구사항 확인 - CH02. 현행 시스템 분석하기 (0) | 2022.04.03 |